🔋 전기차 시대? 근데 배터리는 아직 옛날 기술 쓴다
세상은 전기차로 달려가는데 왜 기술은 '달려가~~ 그녀에게 이말해 줬으면~~~ '이라는 오래된 노래처럼 오래된 리튬이온에 묶여 있는건데?
이게 열받아서 리튬이온에 돌을 던진 기업이 있다. 바로 Solid Power(NASDAQ: SLDP) 아 파워 파워파워 얘네 목표는 간단하다. 고체배터리.
⚙️ 이 회사 뭐하는데 이렇게 시끄러움?
Solid Power는 전통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가연성 액체 전해질을 빼고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넣는 기술 개발 중이다.
이게 성공하면 안전성, 에너지 효율, 원가 절감 다 잡는 거다.
지금은 시제품 셀 만들고, 실제 차량에 넣어서 테스트하는 단계다.
🚗 BMW: 우리 차에 박아볼게
BMW는 Solid Power 초기 투자자다.
그냥 돈만 던지고 손 떼는 게 아니라, 진짜로 셀 받아서 테스트 중.
2. 2023~2024년 → 공동 검증, 설계 피드백.
3. 2025년 → BMW 시험차량에 장착함.
이거면 그냥 “컨셉 발표” 수준이 아니라, 상용화 로드맵에 본격 진입한 거다.
⚡ SK On: 오키 내가 제작해봄
2023년 10월, Solid Power는 SK On과 공동개발 계약(JDA) 발표.
1. Solid Power →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기술 제공.2. SK On → 셀 설계·성능 검증, 대량 생산 가능성 타진.
Solid Power는 기술로, SK On은 공장으로, BMW는 차로 → 삼각 동맹 완성.
양산 준비만 끝나면 글로벌 고체전지 시장을 먼저 먹을 수도 있다.
💰 돈은 어떻게 버냐? (직접 생산 안 함)
Solid Power는 배터리 공장 짓는 대신 기술 팔고 소재 파는 ARM 스타일이다.
일안하고 돈만 받네 개부럽다.
1. 라이선스 수익 – 설계/IP 기술 BMW, SK On에 팔고 로열티 받으니 비용 적고, 마진 높음.2. 전해질 소재 판매 – 황화물계 전해질 직접 만들어서 파트너사에 납품. 반복매출 가능.
3. 공동개발 수익 – BMW, Ford, SK On과 협력하며 개발비·계약금 챙김.
이 구조의 장점? 제조 리스크 없음. 고정비 낮음. 글로벌 확장 빠름.
이 구조의 단점? 기술 채택 안 되면 매출도 0, 소재 수율 안 나오면 욕먹음.
🎯 투자 포인트 정리
1. 고체전지 기술 상용화 진입.2. BMW 테스트 차량 계획 확정.
3. SK On과 대량 생산 가능성 확보.
4. ARM·Dolby 같은 ‘기술 제공+로열티’ 모델.
🧠 결론
Solid Power는 지금으로써는 PPT 장인 회사임. 머 맨날 발표만 존내하는겨
그래도 이미 셀 납품도 했고, BMW가 자기 차에 박기도 했고, SK On이 공장 깔 준비도 함
기술은 준비됐고, 이제 실행만 남았다.
성공하면 배터리 업계에서 “고체전지 = Solid Power” 공식 나올 수도 있다.
⚠️ 계좌가 아프니까 청춘이다.⚠️
저는 이걸로 몇백 먹기는 했는데요 제가 먹은거 보면 끝물일지도요?
저도 걍 수익금만 몇백 남기고 원금을 뺌요
수익금은 죽을때까지 안팔거긴 합니당 😆
0 댓글